본문 바로가기

NFTC 기술기준 시리즈12

🧯 NFTC 108 | 자동식소화기설비 및 분말소화설비 설치기준 완벽 해설 1. 들어가며자동식소화기설비는 초기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즉시 방출되는 국소방호형 소화설비로, 인명보다는 설비 보호 목적에 중점을 둔다. 특히 주방, 전기・기계설비, 분전반, 서버룸 등 화재 위험이 높은 좁은 공간에 적합하다.NFTC 108은 자동식소화기와 분말소화설비를 기술 기준으로 명확히 분리하여 다루며, 소형이지만 고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정립하고 있다.2. 설비 정의 및 구분구분 정의 적용 장소자동식소화기열감지 또는 연기감지로 자동 방출되는 소형 저장방식 설비주방, 전기실, 기계실분말소화설비분말 약제를 저장탱크에서 관을 통해 수동 또는 자동 방출창고, 발전기실, 실외 기계장비3. 자동식소화기설비 주요 구성소화기본체: 분말・이산화탄소・HFC-227ea 등 약제 저장감지부: 열감지기, 압.. 2025. 4. 19.
📢 NFTC 107 | 비상방송설비 설치기준 완벽 해설 1. 들어가며비상방송설비는 화재 등 비상 상황에서 음성으로 대피 유도와 안내 방송을 송출하는 설비로, 청각적 경보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특히 다중이용시설, 공동주택, 고층건물에서 필수적으로 설치되며, NFTC 107은 이를 위한 설치기준과 설계기준을 상세히 규정한다.2. 주요 구성 요소구성요소 설명방송제어반음성신호 송출 및 기동 제어앰프(증폭기)방송 신호의 증폭・분배 기능스피커천장형, 벽부형 등 설치 위치에 따른 선택마이크・음원장치육성 방송 및 자동 음성 녹음 출력전원상시전원 + 예비전원(축전지 or 발전기)3. 설치 대상✅ 설치 의무 대상 (예시)연면적 5,000㎡ 이상 다중이용시설고층(30층 이상) 또는 지하 3층 이상 건축물2개 동 이상을 관통하는 복합 건축물공동주택 중 100.. 2025. 4. 19.
🔔 NFTC 106 |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 설치기준 완벽 해설 1. 들어가며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고 이를 경보로 알려주는 시스템으로, 건물 내 인명 대피 시간을 확보하는 핵심 설비다. 특히 시각경보장치는 청각장애인 및 고령자를 위한 중요한 보조설비로, 공동주택과 다중이용시설에서는 필수로 적용된다. NFTC 106은 이 설비들의 설치 및 성능기준을 규정한 기술적 기준이다.2. 주요 구성 요소구성 요소설명감지기연기/열/불꽃 감지기 등 (천장 설치)발신기수동 화재신고 장치 (복도/출입구 부근)수신기감지정보 수신 및 제어반 기능경보장치음향경보(벨, 사이렌 등)시각경보장치경광등 형태의 점멸기 (고령자・장애인 대응)전원상시전원 + 비상전원 확보 필요3. 감지기 설치 기준✅ 기본 배치 규정연기감지기: 거실 150㎡ 이내당 1개, 최대 설치간격 15m 이하열감지기.. 2025. 4. 19.
🚒 NFTC 105 | 옥외소화전설비 설치기준 완벽 해설 1. 옥외소화전설비란?옥외소화전설비는 건축물 외부에 설치하여, 화재 발생 시 소방대가 신속하게 소화용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필수 설비다. 주로 건축물 외곽, 담장 주변, 공장 부지 등 옥외 공간에 설치되며, 소방용 호스를 연결해 인근 화점을 직접 진압하거나 옥내설비와 연계해 활용된다.2. 설치 대상다음의 특정소방대상물에는 원칙적으로 설치해야 한다:연면적 5,000㎡ 이상인 공장 또는 창고위험물 저장・취급소고층 및 초고층 건축물지하층 또는 무창층이 넓은 복합건축물도로 폭이 좁아 소방차 접근이 어려운 부지3. 주요 구성 요소구성요소설명옥외소화전함배관 연결구 + 개폐밸브 + 연결구함 포함소화전주지상형/매립형 선택 가능수원전용 수조 또는 상수도 직결 방식가압송수장치전동펌프, 예비펌프, 제어장치 등 포함제어.. 2025. 4. 18.
💦 NFTC 104 | 물분무등소화설비 설치기준 완벽 해설 1. 들어가며물분무등소화설비는 고압의 미세 물입자를 이용해 화재를 진압하거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자동 소화설비로, 일반적인 스프링클러설비로 대응하기 어려운 특수 환경에 효과적인 설비다.NFTC 104(화재안전 기술기준)는 이 설비의 구성, 설치, 유지관리 및 성능 확보를 위한 기술적인 기준을 상세히 규정한다.2. 물분무등소화설비의 정의와 유형정의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미세한 입자로 흩뿌리는 소화설비열, 연기, 불꽃 등의 감지를 통해 자동 기동하거나 수동 조작 가능주요 유형구분 용도 특징표준형기계실, 주차장고정노즐형, 감지기 연동캐비닛형전기실, 분전반일체형 설비로 유지관리 용이열감지형협소 공간, 생산라인튜브형 열감지 방식, 배선 불필요이동형작업장, 공장휴대 가능, 수동 작동3. 설치기준 요약✅ 수원의 유.. 2025. 4. 18.
🚨 NFTC 103 | 스프링클러설비 설치기준 완벽 해설 (수원 산정 방식 포함) 1. 들어가며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작동하여 인명과 재산 피해를 줄이는 핵심 설비다. 본 글에서는 NFTC 103 (2022.12.1 시행) 을 기준으로, 수원의 정확한 산정 방식, 설치 기준, 감리・설계 시 유의사항, 완화 및 예외 규정까지 포함한 현장 실무 중심의 해설을 제공한다.2. 스프링클러설비란?소화설비의 일종으로 폐쇄형(일반 건물)과 개방형(특수시설)으로 구분헤드에 내장된 감열체가 일정 온도 도달 시 파열 → 자동 방수초기 화재 확산을 억제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신뢰도 높은 설비3. 스프링클러 설비 구성구성 요소 설명스프링클러 헤드감열 파괴형 자동노즐 (폐쇄형/개방형)유수검지장치습식, 건식, 준비작동식 등 회로 별 설치가압송수장치전동펌프+예비펌프(내연기관) 구성제어장치감시제어반,.. 2025. 4.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