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완전정복

⚡ [과목별 암기노트 ③] 전기설비기술기준 – 차단기·전선굵기·접지 계산 핵심 정리

by sofire 2025. 4. 29.
반응형

1.  “판단기준”은 공식만 외우면 반은 먹고 들어간다!

전기설비기술기준은 한국전기설비규정(KEC) 기반으로 출제되며, 법적 기준 + 계산 문제가 핵심입니다.
특히 차단기 용량 산정, 전선 굵기, 접지저항 계산은 자주 출제되며 점수화가 쉽습니다.

🎯 목표: 기준 + 계산공식 + 단위 체크 → 기출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야 함


2. 암기 공식 정리 – 차단기, 전선, 접지 계산


🔌 ① 차단기 정격 전류 (용량 선정)

공식 설명

Ib = P / (√3 × V × cosθ) 부하전류 계산 (3상)
차단기 정격 ≥ 1.25 × Ib 차단기 선택 기준 (안전계수 반영)
  • P: 부하용량 (W 또는 kW)
  • V: 선간전압 (3상 380V)
  • cosθ: 역률 (일반적으로 0.8~0.9)

✅ 암기팁

  • 단상이면 √3 생략
  • 예: 30kW, 380V, 역률 0.85 → Ib ≈ 54A → 차단기 최소 68A 선택

🔧 ② 전선 굵기 산정

공식 설명

S = (Ib × √3 × L) / (γ × Vd) 전압강하 고려한 최소 단면적
S = 전류밀도 × 전류값 간이 산정법 (전류밀도법)
  • S: 전선 단면적(mm²)
  • L: 선로 길이(m)
  • γ: 전도율 (Cu: 약 57)
  • Vd: 허용 전압강하(V)

✅ 실무 기준 전류밀도

  • 구리선 기준: 5~6 A/mm²
  • 알루미늄선: 3.5~4 A/mm²
    → 60A 필요 시 10mm² 사용 가능

🌍 ③ 접지저항 계산 공식

유형 공식

단극 접지저항 R = ρ / (2πL) × ln(4L/d)
병렬 접지봉 n개 R_total = R_single / n (이상적일 때만)
  • ρ(로우): 토양 저항률 (단위: Ω·m)
  • L: 접지봉 길이(m)
  • d: 접지봉 직경(m)

✅ 출제 팁

  • 단위 정리 필수!
  • 토양 저항률은 100~150 Ω·m로 주어지는 경우 많음

3. 자주 출제되는 포인트 🔍

항목 출제 유형

차단기 부하전류 계산 → 최소 용량 산출
전선 굵기 전류밀도법 + 전압강하법 병행 문제
접지 1극 접지 공식, 병렬 효과, 접지저항 허용기준
배선설비 기준 도관 내 전선 수, 전선 종류(N, V, CV, FR 등)

4. 암기 전략 & 복습팁

📌 노트 구성 방법

  • 전선/차단기/접지 공식은 A4 1장 요약 정리
  • 단위 변환(예: m ↔ mm, kW ↔ W) 별도 정리
  • 자주 쓰는 수치는 암기 → √3 = 1.732, π = 3.14, cosθ ≈ 0.8

📌 실전 적용 팁

  • 문제에 **전선 종류(V, CV 등)**가 나오면 전압차단 vs 내열성 여부 판단
  • 감리 실무에서도 그대로 적용하므로 기억해 둘수록 유리

5.  “이 과목은 암기 + 계산력을 동시에 키우는 과목이다”

전기설비기술기준은 법적 기준실무 계산기준을 모두 다루므로,
공식을 이해하고 암기한 수험생에게 가장 고득점이 쉬운 과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