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간이’해 보여도, 설치는 결코 간단하지 않다
간이스프링클러설비는 스프링클러의 ‘약식 버전’이 아니라
**‘소규모 또는 특수시설에 특화된 소방설비’**입니다.
특히 노유자시설, 공동주택, 다중이용업소 등에서 적용되며
법령상 ‘완화’ 대상으로 보이지만, 설치기준과 성능기준은 절대 느슨하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정확한 정의, 설치기준, 시공 실무, 감리자가 체크할 핵심포인트, 실제 적용사례와 오류까지 폭넓게 해설합니다.
2.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정의 및 설치 목적
2.1 정의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5)
간이스프링클러설비란,
일반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기 곤란한 장소에 대하여 간소화된 방식으로 설치하는 소화설비를 말하며,
자체 수원, 펌프, 배관, 헤드 등으로 구성된 자동방수 설비입니다.
2.2 설치 목적
- 인명밀집 또는 대피취약 시설에서 화재 초기 진압
- 일반 스프링클러설비의 설치가 곤란한 건축적 제약 보완
- 노후 시설, 저층 공동주택, 고시원 등에서 경제적 대안
3. 설치 대상 및 법령 기준
3.1 설치 의무 대상 (시행령 제15조 및 별표 5)
대상 조건
노유자시설 | 연면적 300㎡ 이상 (단독 사용 시) |
고시원 | 연면적 200㎡ 이상 |
다중이용업소 | 바닥면적 100㎡ 이상 |
공동주택 | 특정층 연면적 600㎡ 이하 시 대체 가능 |
📌 특정 요양병원, 어린이집, 산후조리원 등은 간이스프링클러설비로 대체 가능하나, 반드시 소방관서와 협의 필요
4. 구성요소 및 설비 흐름
4.1 구성요소 (NFTC 402 기준)
구성요소 역할
수원탱크 | 최소 2,000L 이상 확보 |
펌프 | 방수압력 0.17MPa 이상 |
압력스위치 | 자동기동용 감지장치 |
배관 | 헤드에 물을 공급하는 배관 |
스프링클러헤드 | 화재 감지 시 자동 방수 |
배수관, 시험배관 | 유지관리 및 시운전용 |
4.2 작동 흐름
- 헤드 감열부 작동 → 개방
- 배관 압력저하 감지 (압력스위치 작동)
- 펌프 자동기동 → 방수 개시
- 해당 구역만 국소적 방수
5. 설치 기준 요약 정리
5.1 수원 및 펌프
항목 기준
수원탱크 용량 | 최소 2,000L 이상 (설계 유량 × 10분 이상) |
펌프 토출압 | 0.17MPa 이상 유지 |
예비전원 | 정전 시 사용 가능 UPS 또는 축전지 필요 |
펌프 기동 | 압력스위치 또는 연동 수신기 통한 자동기동 |
5.2 배관 및 헤드 설치
항목 기준
배관재질 | 아연도강관, 동관, CPVC 등 허용 |
헤드 종류 | 자동개방형 (68°C, 79°C 등) |
헤드간 거리 | 3.5m 이내 (천장고 3m 기준) |
커버면적 | 1헤드당 9㎡ 이내로 모든 구역 커버 |
6. 시공 실무 포인트
6.1 수원탱크
- 반드시 소방용 단독 탱크로 설치 (생활용 급수탱크 겸용 불가)
- 청소구, 배수밸브, 수위계 설치 필수
- 실내 설치 시 누수방지턱, 실외 설치 시 동파방지 조치 필요
6.2 펌프 및 제어
- 펌프 기초 고정 앵커볼트 + 방진패드 설치
- 제어반에는 자동/수동 기동 스위치, 전원표시, 이상경보 기능 포함
- UPS(예비전원)는 60분 이상 작동 가능 용량 필요
6.3 배관 및 헤드
- 배관은 슬래브 고정 + 1.8m 이내 지지대 설치
- 헤드는 장애물(보, 조명)과 최소 60cm 이상 이격
- 점검구는 반드시 600×600mm 이상 확보
7. 시운전 및 시험 절차
7.1 방수시험 절차
- 펌프 전원 인가 및 압력확인
- 시험용 배관 연결 → 방수개시
- 압력게이지 실측 → 0.17MPa 이상 확인
- 유량계 측정 → 80~130L/min 이상 유지
- 이상음, 진동, 누수 여부 확인
- 자동기동(압력스위치), 수동기동 테스트
7.2 시험 기록표 예시
항목 기준 측정값 확인
방수압력 | ≥ 0.17MPa | □□□ MPa | ☐ |
방수유량 | ≥ 80L/min | □□□ L/min | ☐ |
펌프기동시간 | ≤ 10초 | □□ 초 | ☐ |
예비전원 전환 | 자동작동 | 정상 / 비정상 | ☐ |
8. 감리자가 체크할 핵심 포인트
항목 확인사항
설치대상 적합성 | 층수·면적 요건 충족 여부 |
수원 단독 사용 여부 | 생활용 겸용 여부 불가 |
펌프 출력 및 배관 정격압력 | 시험치 기준 부합 여부 |
점검구 확보 | 헤드 점검 가능 공간 확보 여부 |
자동기동 시험 | 감압스위치/수신반 연동 기동 여부 |
9. 자주 발생하는 오류 및 대처 방법
사례 원인 대처
펌프 무기동 | 압력스위치 설정 불량 | 감도 재조정 or 교체 |
수원 부족 | 탱크 설계용량 미달 | 2,000L 이상 재확보 |
방수압 미달 | 펌프 출력 부족 or 배관 마찰 과다 | 펌프 재선정 or 배관 재설계 |
점검구 미설치 | 천장 배관 은폐 시 누락 | 설계변경 후 개방형 확보 |
10. 결론 – 간이스프링클러는 ‘작지만 정밀해야 한다’
간이스프링클러설비는 ‘소형이지만 정밀해야 하는 소방설비’입니다.
설계자는 대상을 정확히 판단하고, 시공자는 규정에 맞는 구성품을 정밀하게 시공해야 하며,
감리자는 설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증명할 수 있는 시험 절차와 결과를 꼼꼼히 검토해야 합니다.
진짜 간이한 건 구조가 아니라, 화재 초기 대응을 빠르고 단순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간이스프링클러설비 #NFTC402 #NFPC기준 #소방펌프 #소방시운전
#소방감리 #소방배관 #펌프기동시험 #소방설비설계 #노유자시설소방
#고시원소방설비 #간이스프링클러펌프 #소방블로거마스터
'소방공사 실무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내화전선 완벽정리 – 정의, 적용대상, 시공기준까지 한눈에! (0) | 2025.04.28 |
---|---|
🏃 옥상출입문 자동개방장치 실무 해설 – 제연설비 연동 설치 기준까지 완전 정리 (0) | 2025.04.25 |
🚨 옥내소화전 설비 실무 완전 해설 – 구성부터 방수시험, 감리 포인트까지 (0) | 2025.04.24 |
📝 소방펌프 시운전 체크리스트 완전 공개 – 실전 서식과 함께 배우는 현장 필수절차 (0) | 2025.04.24 |
🔔 자동화재속보설비 vs 비상경보설비 – 헷갈리지 말자! 실무 완전 비교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