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가장 기본이면서, 가장 오류가 많은 설비
옥내소화전은 화재 초기에 신속하게 사람이 직접 대응할 수 있도록 설치된 소방설비입니다.
‘소방설비의 시작’이자 ‘현장 대응의 마지막 보루’이기도 한 이 설비는
건축물 어디에나 있지만, 설치 불량, 압력 부족, 방수 미비 등의 문제로 실제 화재 시 무용지물이 되는 사례도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옥내소화전의 실무 구성, 설치기준, 방수시험 절차, 감리 시 주의사항을 완벽히 정리해 드립니다.
2. 옥내소화전 설비의 구성 및 기본 개념
2.1 설치 목적
화재 발생 시 건축물 내 거주자 또는 초기 대응자가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수동 소화설비로,
화재 확산을 막고 소방대 도착 전 초기 진압을 위한 설비입니다.
2.2 구성요소 (NFTC 302 기준)
구성요소 기능
소화전함 | 호스, 노즐, 밸브 등 내장 |
호스 또는 호스릴 | 물을 전달하는 연결 수단 |
개폐밸브 | 수동 조작으로 방수 개시 |
압력게이지 | 수압 확인용 |
방수노즐 | 화재 지점으로 물을 분사 |
신호장치 | 개방 시 경보 또는 연동 신호 발생 |
주배관 및 헤드배관 | 펌프실 또는 수원에서 물을 공급 |
3. 옥내소화전의 설치기준 요약
3.1 설치 위치 기준
항목 기준 내용
설치 높이 | 호스구: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 |
설치 위치 | 복도, 계단, 전기실 앞 등 피난동선 중심 |
설치 간격 | 수평거리 25m 이내로 모든 지점 커버 |
전용구획 | 배치된 장소에 다른 설비와 혼용 금지 |
3.2 호스릴 or 호스 선택 기준
조건 적용 설비
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등 | 호스릴 (편의성) |
일반 업무시설, 공공기관 | 전통형 호스 (고압) |
노유자시설, 병원 등 | 호스릴 또는 고정식 방수구 |
4. 수원의 구성과 수압 기준
4.1 수원의 종류
- 고가수조
- 소방전용 수조
- 급수탱크 연계
- 소방펌프 연동 (공통)
4.2 방수압력 및 유량 기준 (NFTC 302, NFSC 102 기준)
항목 기준값
최소 방수압 | 0.17MPa 이상 |
최소 유량 | 130L/min (1개 방수 기준) |
동시방수 | 2개 이상 방수 가능 설계 필수 |
유량시험 | 유량계 or 노즐 시험관 측정 필수 |
※ 고층건축물은 압력저하 보완 설계 필수 (감압밸브 등 적용)
5. 시공 실무 포인트
5.1 배관 공사
- 배관 이음부 누수 방지를 위한 조임토크 및 실링 확인
- 드레인 배관은 반드시 저점 설치 + 역지밸브 처리
- 호스릴은 벽체 고정 시 콘크리트 앵커 사용
- 호스의 말림은 우측회전 방향으로 감아야 함 (개방 시 꼬임 방지)
5.2 소화전함 설치
- 벽체 매입형 또는 노출형 구분 적용
- 전면 도어는 개폐 시 90도 이상 확보 가능 위치 확보
- 내부 구성품 배치 순서: 호스→노즐→압력계→밸브
6. 방수시험 절차 및 기록
6.1 방수시험 절차
- 펌프 전원 확인, 압력게이지 정상 여부 확인
- 시험 대상 소화전 1개 선택 → 밸브 개방
- 유량계 또는 방수시험관 연결
- 방수 개시 → 30초 이상 연속 방수
- 수압 확인 → 0.17MPa 이상 유지
- 유량 확인 → 130L/min 이상 유지
- 이상 여부 점검 (진동, 소음, 누수)
6.2 시험 기록 예시
항목 기준 측정값 확인
방수압력 | ≥ 0.17MPa | □□□ MPa | ☐ |
방수유량 | ≥ 130L/min | □□□ L/min | ☐ |
방수지속시간 | ≥ 30초 | □□□ 초 | ☐ |
펌프 기동 | 자동/수동 정상 | □ 확인 | ☐ |
소화전함 이상 | 도어/밸브 작동 여부 | 양호 / 불량 | ☐ |
7. 감리자가 꼭 확인해야 할 체크포인트
항목 확인 내용
소화전함 설치 위치 | 평면도 일치 여부, 피난경로 간섭 여부 |
배관 누수 | 시험 시 및 정압 상태에서 이음부 누수 여부 |
방수 시험 | 유량, 압력 기준 만족 여부 |
펌프 기동 | 소화전 개방 후 자동 기동 여부 확인 |
동시 방수 | 두 개 이상 방수 시 수압저하 여부 확인 |
8. 현장 오류 사례와 개선방안
사례 문제점 개선 방법
호스릴 감김 반대방향 | 방수 시 꼬임 발생 | 우측 회전 방향 재감기 |
방수압 미달 | 펌프 토출압 부족 | 펌프 교체 or 감압밸브 재조정 |
도어 개방 불량 | 통신박스 간섭 | 위치 재배치 or 도어 변경 |
배관 누수 | 이음부 실링 미흡 | 재조임, 실링제 보강 |
시험 시 방수 불가 | 밸브 막힘 or 공기 유입 | 배관 에어빼기, 노즐 점검 |
9. 특수시설 설치 시 주의사항
시설 유의점
병원, 노유자시설 | 저압 설계 + 고정형 노즐 + 긴급전환 밸브 |
지하주차장 | 배관 보온 또는 자동배수장치 설치 필수 |
고층건축물 | 각 층별 압력 균등화 → 감압밸브 설계 필수 |
자동화재속보설비 연동 대상 | 소화전 개방 시 수신반 경보 출력 여부 확인 |
10. ‘눈에 보이는 것’보다 ‘물 나오는 것’이 중요하다
옥내소화전은 설치돼 있는 것만으로는 소용이 없습니다.
실제로 물이 나오고, 그 물의 압력과 유량이 기준을 만족하며,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어야 진짜 작동 설비입니다.
설계자는 위치와 용량 기준을 명확히 반영하고, 시공자는 정밀한 배관과 구성품 설치, 감리자는 방수시험과 기록까지 꼼꼼히 검토해야 합니다.
실제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
“그 물이 나왔느냐”가 생사를 가를 수 있습니다.
#옥내소화전 #소화전설비 #호스릴 #소방방수시험 #NFTC302
#NFPC기준 #소방설비시공 #소방배관 #소방펌프연동 #방수시험절차
#소방감리 #화재대응설비 #소방기술기준 #소방블로거마스터
'소방공사 실무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옥상출입문 자동개방장치 실무 해설 – 제연설비 연동 설치 기준까지 완전 정리 (0) | 2025.04.25 |
---|---|
💧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실무 해설 – 구성부터 설치기준, 감리 포인트까지 완전정복 (0) | 2025.04.25 |
📝 소방펌프 시운전 체크리스트 완전 공개 – 실전 서식과 함께 배우는 현장 필수절차 (0) | 2025.04.24 |
🔔 자동화재속보설비 vs 비상경보설비 – 헷갈리지 말자! 실무 완전 비교 (0) | 2025.04.24 |
💡 비상조명등 및 유도등 실무 완전 해설 – 설치기준부터 감리체크까지 (0) | 2025.04.23 |